올버니 의료센터 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버니 의료센터 상은 2000년 사업가이자 자선가인 모리스 "마티" 실버맨의 기증으로 제정된 의학상이다. 이 상은 생명 과학 분야의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들을 대상으로 수여되며, 2001년 아널드 J. 레빈을 시작으로 매년 수상자를 배출하고 있다. 역대 수상자로는 앤서니 파우치, 로버트 레프코위츠, 엘리자베스 H. 블랙번, 야마나카 신야 등이 있으며, 일부 수상자는 노벨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버니 (뉴욕주) - 글로벌파운드리스
글로벌파운드리스는 AMD의 반도체 제조 사업부 분사로 설립되어 무바달라 투자회사의 투자와 차터드 세미컨덕터 인수 등으로 성장한 종합 파운드리 업체로, 최첨단 공정보다는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전략을 취하며 전 세계에 웨이퍼 생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 올버니 (뉴욕주) - 올버니 국제공항
올버니 국제공항은 1928년 설립되어 뉴욕주 올버니에 위치하며, 주요 항공사들이 국내 노선을 운영하고, 1998년 터미널 개장 및 2019년 시설 현대화 사업을 완료한 국제공항이다. - 의학상 - 노벨상
노벨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에 공헌한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물리학, 화학, 생리 의학, 문학, 평화, 경제학 6개 분야에서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기관들이 수상자를 선정한다. - 의학상 -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
루이자 그로스 호르위츠상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생물학 또는 생화학 분야의 뛰어난 의학 연구 업적을 이룬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수상자 중 다수가 노벨상을 수상했으며 1967년부터 매년 수여되고 있다.
올버니 의료센터 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올버니 의료센터 상 |
로마자 표기 | Olbeoni Uiryo Center Sang |
영어 이름 | Albany Medical Center Prize in Medicine and Biomedical Research |
분야 | 의학 생의학 |
주최 | 올버니 의료센터 |
위치 | 올버니 |
국가 | 미국 |
첫 시상 | 2001년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2. 제정 배경
뉴욕시의 사업가이자 자선가인 모리스 "마티" 실버맨(Morris "Marty" Silverman)이 미국 최대 규모의 의학상을 만들고자 올버니 의료센터에 2000년 5000만달러를 기부하면서 제정되었다.[6][7]
2. 1. 설립자
뉴욕시의 사업가이자 자선가인 모리스 "마티" 실버맨(Morris "Marty" Silverman)은 미국 최대 규모의 의학상을 만들고자 2000년에 올버니 의료센터에 5000만달러를 기증했다. 그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인 국경없는 의사회의 활동에 깊은 감명을 받아 이 상을 제정하기로 결심했다. 실버맨은 기자회견에서 올버니 의료센터를 기부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에 대해 "올버니 지역이 생활고와 싸우던 자신의 가족에게 안식처와 같은 곳"이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의 아버지는 19세기 말 올버니 지역으로 이민 와 주유소를 운영하며 가족의 생계를 책임졌다고 한다.[6][7]2. 2. 설립 배경 및 목적
뉴욕시의 사업가이자 자선가인 모리스 "마티" 실버맨(Morris "Marty" Silverman)은 미국 최대의 의학상을 제정하기 위해 2000년에 올버니 의료센터에 5000만달러를 기부했다. 그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인 국경없는 의사회의 활동에 깊은 감명을 받아 이 상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실버맨이 기부 대상으로 올버니 의료센터를 선택한 이유는 기자회견에서 밝힌 바와 같이, 올버니 지역이 과거 생활고를 겪던 그의 가족에게 안식처와 같은 곳이었기 때문이다. 그의 아버지는 19세기 말 올버니 지역으로 이민 와 주유소를 운영하며 가족을 부양했다고 전해진다.[6][7]3. 역대 수상자
- 2001년: 아놀드 J. 레빈
- 2002년: 앤서니 파우치
- 2003년: 마이클 S. 브라운, 조셉 L. 골드스타인
- 2004년: 스탠리 노먼 코헨, 허버트 보이어
- 2005년: 로버트 S. 랭거
- 2006년: 시모어 벤저
- 2007년: 로버트 레프코위츠, 솔로몬 스나이더, 로널드 에반스
- 2008년: 조앤 A. 스타이츠, 엘리자베스 H. 블랙번
- 2009년: 브루스 보이틀러, 찰스 디나렐로, 랄프 스타인먼
- 2010년: 데이비드 보트스타인, 프랜시스 콜린스, 에릭 랜더
- 2011년: 엘레인 푹스, 제임스 톰슨, 야마나카 신야
- 2012년: 제임스 E. 다넬 주니어, 로버트 로더
- 2013년: 브라이언 드러커, 피터 C. 노웰, 자넷 라우리
- 2014년: 알렉산더 바르샤브스키
- 2015년: 칼 다이세로스, 샤오량 시에 (謝曉亮zho)
- 2016년: 프란츠-울리히 하르틀, 아서 호리치, 수잔 린드퀴스트
- 2017년: 엠마뉘엘 샤르팡티에, 제니퍼 다우드나, 루치아노 마라피니, 프란시스코 모히카, 펑 장
- 2018년: 제임스 P. 앨리슨, 칼 준, 스티븐 로젠버그
- 2019년: 버트 포겔스타인, 어빙 L. 와이스먼
- 2020년: 수상자 없음
- 2021년: 바니 그레이엄, 커리코 커털린, 드류 와이스먼 [5]
- 2022년: 찰스 데이비드 앨리스, 마이클 그룬스타인 [4]
- 2023년: 보니 배슬러, 제프리 고든, 데니스 L. 캐스퍼 [3]
- 2024년: 하워드 Y. 창, 애드리안 R. 크레이너, 린 맥쿼트
3. 1. 2001년
아놀드 J. 레빈이 종양 억제 단백질 p53를 발견한 공로로 수상했다.3. 2. 2002년
3. 3. 2003년
- 마이클 브라운
- 조지프 골드스타인
3. 4. 2004년
3. 5. 2005년
- 로버트 랑거 [http://www.amc.edu/PR/PressRelease/PR_597.html 보도 자료]
3. 6. 2006년
- 세이모어 벤저 [http://www.amc.edu/PR/PressRelease/PR_641.html 보도 자료]
3. 7. 2007년
세포간 신호 및 물질 전달에서의 수용체 연구 공로로 다음 세 명의 과학자가 공동 수상했다. [http://www.amc.edu/PR/PressRelease/PR_705.html 보도 자료]- 로버트 레프코위츠: 2012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이기도 하다.
- 솔로몬 H. 스나이더 (Solomon H. Snyder영어)
- 로널드 M. 에반스 (Ronald M. Evans영어)
3. 8. 2008년
- 조앤 A. 스타이츠 Joan A. Steitz영어: 질병에서의 분자 연구 공로로 수상했으며, 올버니 의료센터 상 최초의 여성 수상자이다. [http://www.amc.edu/PR/PressRelease/05_02_08_A.html 보도 자료]
- 엘리자베스 블랙번: 질병에서의 분자 연구 공로로 수상했다. 이후 200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http://www.amc.edu/PR/PressRelease/05_02_08_A.html 보도 자료]
3. 9. 2009년
- 브루스 A. 보이틀러: 면역 체계 연구. (201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 찰스 A. 디나렐로: 면역 체계 연구. (2009년 크라포르드상 수상)
- 랄프 M. 스타인먼: 면역 체계 연구. (2011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 [http://www.amc.edu/PR/PressRelease/04_24_09_A.html 보도 자료]
3. 10. 2010년
[http://www.amc.edu/PR/PressRelease/04_23_10_A.html 보도 자료]- 데이비드 보츠타인
- 프랜시스 콜린스
- 에릭 랜더
3. 11. 2011년
보도 자료- 엘레인 푹스 Elaine Fuchs영어: 줄기세포 연구.
- 제임스 A. 톰슨 James A. Thomson영어: 줄기세포 연구.
- 야마나카 신야: 줄기세포 (iPS 세포) 연구. 201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3. 12. 2012년
- [http://www.amc.edu/PR/PressRelease/03_28_12_Albany_Prize.html 보도 자료]
- 제임스 E. 다넬 주니어
- 로버트 G. 로더
3. 13. 2013년
[http://www.amc.edu/PR/PressRelease/04_16_13_A.html 보도 자료]- 브라이언 J. 드러커
- 피터 C. 노웰
- 재닛 D. 로울리
3. 14. 2014년
- 알렉산더 바르샤브스키 [http://www.amc.edu/PR/PressRelease/05_21_14_A.html 보도 자료]
3. 15. 2015년
보도 자료- 칼 다이서로스
- 샤오량 시에 (Xiaoliang Sunney Xieeng, 謝曉亮zho)
3. 16. 2016년
- 프란츠-울리히 하르틀
- Arthur L. Horwich영어
- 수잔 린드퀴스트
[http://www.amc.edu/news/albany_prize_2016.cfm 보도 자료]
3. 17. 2017년
보도 자료- 엠마뉘엘 샤르팡티에 Emmanuelle Charpentier영어: 유전자 편집 기술
- 제니퍼 다우드나: 유전자 편집 기술
- 루치아노 마라피니 Luciano Marraffini영어: 유전자 편집 기술
- 프란시스코 후안 마르티네스 모히카 Francisco Juan Martínez Mojica영어: 유전자 편집 기술
- 펑 장 Feng Zhang영어: 유전자 편집 기술
3. 18. 2018년
- 제임스 P. 앨리슨: 면역요법 연구 기여. 같은 해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
- 칼 H. 준 (Carl H. Juneeng): 면역요법 연구 기여.
- 스티븐 A. 로젠버그 (Steven A. Rosenbergeng): 면역요법 연구 기여.
[http://www.amc.edu/news/trailblazing-researchers-in-immunotherapy-selected-to-receive-americas-most-distinguished-prize-in-medicine.cfm 보도 자료]
3. 19. 2019년
3. 20. 2020년
수상자 없음3. 21. 2021년
[https://penntoday.upenn.edu/news/penn-mrna-researchers-drew-weissman-and-katalin-kariko-awarded-2021-albany-prize 보도 자료] [5]- 바니 그레이엄
- 커털린 커리코
- 드루 와이스만
3. 22. 2022년
[https://www.timesunion.com/news/article/Two-scientists-win-2022-Albany-Medical-Center-17501934.php 보도 자료] [4]- C. 데이비드 앨리스
- 마이클 그런스타인
3. 23. 2023년
- 보니 L. 배슬러
- 제프리 I. 고든
- 데니스 L. 캐스퍼 [3] ([https://www.albanymed.org/albany-medical-center/albany-prize/2023-winners/ 보도 자료])
3. 24. 2024년
- 하워드 Y. 창
- 애드리안 R. 크레이너
- 린 E. 매큇 [https://www.albanymed.org/albany/albany-prize/2024-recipients/ 보도 자료]
참조
[1]
웹사이트
Albany Medical Center Prize
http://www.amc.edu/A[...]
[2]
웹사이트
Shaw Prize in Life Science and Medicine
http://www.shawprize[...]
[3]
웹사이트
Albany Medical Center Prize 2023
https://www.albanyme[...]
[4]
웹사이트
Rockefeller University 2022
https://www.rockefel[...]
[5]
웹사이트
Albany Medical Center Prize 2021
https://twitter.com/[...]
[6]
뉴스
뉴욕 억만장자 '미국판 노벨의학상' 제정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00-11-21
[7]
뉴스
[지구촌인물] 갑부 실버맨 '미국판 노벨의학상' 제정
http://legacy.www.ha[...]
한겨레
2000-11-20
[8]
뉴스
보겔스타인 '암 유전체 연구' 일문일답
http://news.imaeil.c[...]
매일신문
2013-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